조금은 더 나은 미래

조금은 느리지만, 확실하고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건강

가스라이팅 뜻

ო̤̮ 2022. 3. 7. 10:28

텔레비전에서 가스라이팅이라는 단어가 종종 들려옵니다. 가스라이팅 뜻이 정확히 무엇일까요? 그리고 이 가스라이팅은 왜 좋지 않은 것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뜻은 상황을 조작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식으로 타인의 판단력을 잃게 만드는 행위 일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종의 심리 지배입니다. 가해자가 피해자를 통제하기 위해 그가 자신을 의심하게 만드는 행위 전반을 의미합니다.

 

 

가스라이팅의 유래

가스라이팅의 영어 스펠링은 “Gaslighting”입니다. 가스등 불빛이라는 뜻이 되겠네요. 이 용어는 1938년 영국에서 상영된 연극에서 유래했습니다. 피해자 역할이되는 여자 주인공은 세계적인 성악가인 이모가 죽자 거액을 상속받게 됩니다. 그리고 유산을 노리고 여주와 결혼한 남편은 피해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것처럼 의심하고 몰아가기 시작합니다. 실제로는 가해자가 꾸민 것이지만, 사랑하는 남편이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할 수 없었던 여주는 점차 자신의 기억력을 의심하기 시작하며 심리적으로 불안해하기 시작합니다. 이 상황이 가장 자주 목격되는 가스라이팅 유형입니다.

 

 

가스라이팅 단계 과정

정신분석가이자 심리치료자인 로빈 스턴 말에 따르면, 가스라이팅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가스라이팅 - 불신
스턴은 당연한 사실, 즉 진실에에 대해 상대방이 의문을 제기하게 되면, 혼란스럽게 되는데 혼란스러운 그를 설득하려 한다면 이미 1단계에 진입한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가스라이팅 - 자기방어
아직 피해자가 자기 생각과 감정을 지키고 있지만 지속된 비난으로 인해 심신이 매우 지친 상태를 말합니다. 피해자는 이미 피폐해져 있습니다.


가스라이팅 - 억압
피해자의 생각과 감정이 가해자에게 지배된 상태를 말합니다. 피해자의 자존감은 이미 완전히 바닥으로 떨어진 상태로 자포자기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스스로의 판단력과 감정을 더 이상 신뢰하지 않게 됩니다.

 

 

가스라이팅 자가진단 테스트

아래의 내용 중에서 3개이상 해당된다면 본인이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말을 하기 전에 이렇게 말해도 되나 망설인다.
  • 주로 사과 하거나 변명을 하게 된다.
  • 상대방의 눈치를 보게 되거나 불안함을 느낀다.
  • 자신감이 없고 스스로에 결정하기가 어렵다.
  • 스스로가 예민하다고 생각한다.
  • 자주 후회하고 자책한다.

 

 

가스라이팅 멘트 각각 예시

아래와 같은 멘트들이 가스라이팅의 단골 멘트 입니다.

  • "너는 착한 딸(아들)이잖아."
  • "아이고, 너를 낳은 내죄지.”
  • "다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
  • "네가 어떻게 나한테 이럴 수 있니."
  • "다 널 사랑해서 그런 거야!"
  •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 "너가 너무 예민한 거야."
  • "나 아니면 누가 너를 만나?"
  • "별거 아니야. 그냥 농담이야"
  • "옷을 왜 그렇게 입고 다녀? 앞으로 그런 건 입지 마."
  • "왜, 날 이해를 못해?”
  • "왜 이렇게 일을 못해? OO 씨에게 능력 밖의 일 아닌가?"
  • "이 회사 나가면 어디 갈 데가 있을 줄 알아?"
  • "왜 OO씨만 못하겠다는 거지?"
  • "회사 내에서 OO 씨에 대해 안 좋은 얘기가 많이 들리는데"
  • "회사 편하게 다니 건 줄 알아"

 

 

가스라이팅 대처법

아래에 간단하게 가스라이팅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남겨두었습니다.

  • 왜곡과 진실을 구분해야 합니다.
  • 상대방과의 대화가 소위 '밀당'이라면 피해야 합니다.
  • 옳고 그름 대신 자신의 느낌에 초점 맞춰야 합니다.

 

 

또 전문가들은 스스로 가스라이팅 피해자라는 사실을 자각한다면 얼마든지 피해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니 무엇보다 피해자 자신이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된다면 가해 상대와 계속해서 거리를 두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모든 상황을 객관적으로 봐줄 수 있는 전문가나 제3자 조력자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내 삶은 나의 것입니다. 뚜렷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존감을 가지고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정신 건강 정말 중요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깐부 뜻 아시나요?  (0) 2022.03.08
GOS 이슈, 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0) 2022.03.07
췌장암 초기증상 4가지  (0) 2022.03.07
대상포진 초기증상  (0) 2022.03.04
역류성 식도염 증상  (0) 202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