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은 더 나은 미래

조금은 느리지만, 확실하고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주식공부

리스크 관리, 현금 보유 필요한가?

ო̤̮ 2022. 4. 30. 11:43

최근에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현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실제로 물가는 매년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현금은 가치가 점점 더 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현금을 가지고 있을 것이 아니라 운영 가능한 모든 현금을 투자에 활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요? 여러분도 그렇게 생각하시나요?

 

현금이 투자 대상?

앞에서 이야기한 대로 물가는 매년 약 2%에서 4% 정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늘 100원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을 내년에는 100원으로 사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도 현금이 투자 대상일까요? 엄밀하게 말해서 현금은 투자 대상이 아닙니다. 수익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현금을 투자 대상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투자 과정에서 현금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금을 활용한 리스크 관리 방법?

우리는 현금을 통해서 손쉽게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현금 비중을 조절하면서 변동성을 제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변동성이 30% 정도인 종목이 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 종목과 현금의 비중을 1:9로 나눈다면 전체 자산의 변동성이 3%로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기대 수익성도 그만큼 낮아지게 됩니다. 그러나 투자에서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단기적으로 높은 수익률이 아니라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러면 이어서 위의 예를 종목이 아니라 자산군에 적용해 볼까요? 한 종목이 아니라 전체 주식에 투자하는 금액과 현금의 보유 비중을 1:1로 나누어보겠습니다. 전체 주식 계좌의 변동성이 약 20%라면 현금을 50% 보유하는 것만으로 전체 변동성을 약 10%로 줄였습니다.

 

물론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추세가 왔을 때 보유하던 현금을 투입하여 큰 수익을 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리스크 관리와 관련된 내용이라기보다는 계좌 운영 방식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어 다음에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현금을 어느 정도 보유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변동성을 줄이고, 따라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현금 보유는 가장 쉬운 리스크 관리 방법입니다.

 

현금을 보관하는 방법?

하지만 위에서 현금은 계속 가치가 떨어진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 무작정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할까요? 간단한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하나는 예금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청약 통장 매월 10만 원짜리 자동 이체되도록 꼭 개설하세요. 1,500만 원까지 채우셔야 합니다. 이 통장은 주택 청약에도 쓸 수 있고 금리도 일반 예금보다 높습니다. 그럼 현금이 필요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예금 담보 대출로 현금으로 바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일반 예금의 경우에도 한 통장에 두는 것이 아니라 쪼개서 몇 개를 만들어 둘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청약 통장 1,500만 원짜리 하나와 1분기마다 하나씩 총 5개의 예금으로 분할하여 1년 연봉 정도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파킹 통장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통장보다는 이자를 더 줍니다. 바로 현금화시킬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기회가 올 때 현금을 투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채권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채권은 확실하게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채권이나 주식이나 MTS, HTS로 거래하기 때문에 거래가 쉽습니다.

 

이제 지루하디 지루한 리스크 관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공격적인 투자 방식이 아니라 지키는 방어적인 투자 방식이라서 흥미롭지는 않은 내용입니다. 그러나 투자를 위해서는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서 리스크를 관리하지 못하면 장기적으로 실패하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현금은 최후의 안전장치입니다. 언제나 절대로 현금을 일정 부분 보유하셔야 합니다.

 

 

변동성이란?

여러분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소위 야수의 심장을 가진 사람들은 주로 하이 리턴에 초점을 맞춥니다. 어떻게 아느냐고요? 저도 높은 수익률에 관심 많았던 시기가

poolstockstory.tistory.com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크 관리, 분할 매매의 필요성?  (0) 2022.05.07
리스크 관리, 분산투자는 무엇인가?  (0) 2022.05.01
리스크 관리 필요한가?  (0) 2022.04.24
손익 비대칭이란 무엇인가?  (0) 2022.04.23
변동성이란?  (0) 2022.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