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은 더 나은 미래

조금은 느리지만, 확실하고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주식공부

손익 비대칭이란 무엇인가?

ო̤̮ 2022. 4. 23. 14:25

사람들은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 주식 투자를 시작합니다. 때문에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하지만 투자 고수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우리의 생각과 다릅니다. 그들은 철저히 손실을 피해야 자산을 늘릴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고수들의 주된 목표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것은 손익 비대칭 때문입니다.

 

복리의 이해

이자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한 가지는 단리입니다. 단리는 이자를 계산할 때 원금에 대해서만 계산합니다. 일정한 시기마다 약정한 이율을 적용해서 계산하는 단순한 금리 계산 방법입니다.

 

반면에 복리는 원금뿐만 아니라 이자에도 이자를 붙이는 계산 방법입니다. 일정한 시기마다 원금에 이자를 붙이고, 그다음 시기에는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이자를 붙이는 계산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에 연 5%의 이자를 계산하면 첫 년도에는 이자 5만 원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그다음 연도에는 이자까지 합한 105만 원에 5%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이자가 52,500원이 발생하게 됩니다.

 

 

손익 비대칭성

그런데 복리와 주식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복리는 손실에도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0%의 수익을 기록한 뒤에 10%의 손실을 기록하면 원금을 지켜냈을까요? 아닙니다. 수익률은 -1%입니다.

 

그럼 앞서 언급한 변동성의 개념과 한번 생각해볼까요? 변동성이 작은 종목에 투자하여 10%를 잃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원금을 회복하기 위해서 몇 퍼센트의 수익을 올려야 할까요? 약 11.11%의 수익을 내면 원금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변동성이 큰 종목에 투자하여 50%를 잃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100%의 수익을 올려야 원금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손실-복구를-위한-수익률-표와-그래프
손실 복구를 위한 수익률의 표와 그래프

 

이제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중요한 부분을 찾으셨나요? 그렇습니다. 손실이 클수록 원금을 회복하는 것은 어려워집니다. 이것이 손익 비대칭성입니다. 그래서 변동성이 큰 종목을 투자하는 것이 매우 위험합니다. 실수해서 크게 잃으면 원금을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사실상 어느 수준 이상의 손실을 확정하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이것이 투자 고수들이 장기적으로 수익을 얻기 위해서 손실을 피하는 이유입니다. 워런 버핏이 손실을 그토록 싫어하는 이유입니다.

 

저도 알고 있습니다. 높은 수익률은 정말 매력적입니다. 어떤 종목으로 소위 대박을 치면 정말 짜릿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그런 흔하지 않은 경우를 위해서 위험을 감수하기에는 우리의 자산이 너무 소중하지 않으신가요? 주식 계좌의 숫자는 사이버머니는 아닙니다. 실제로 장기적인 수익을 위해서는 변동성을 줄이고 로우 리스크를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와 투기의 차이?

지난 몇 년간 자산 가격은 문자 그대로 폭등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장에서 엄청난 수익을 얻었다는 성공 스토리가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그래서 그럴까요?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가지

poolstockstory.tistory.com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크 관리, 현금 보유 필요한가?  (0) 2022.04.30
리스크 관리 필요한가?  (0) 2022.04.24
변동성이란?  (0) 2022.04.17
시장에대한 관점?  (0) 2022.04.16
투자자와 트레이더의 차이?  (0) 202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