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은 더 나은 미래

조금은 느리지만, 확실하고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갑니다.

주식공부

리스크 관리 필요한가?

ო̤̮ 2022. 4. 24. 14:34

앞서 우리는 변동성의 개념과 손익 비대칭의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간단히 살펴보자면 자산군이나 종목에 따라서 가격의 변동폭이 다르고, 큰 손실을 입을수록 원금을 회복하기가 더 어렵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자산을 불려나가기 위해서는 무조건 큰 손실을 피해야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누가 손실을 보고싶어서 손실을 기록하나요? 앞일을 알수가 없기 때문에 손실을 기록하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이번에는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간과하는 확률과 리스크 관리에관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주가가 상승할 확률은?

여러분이 어떤 한 종목을 매수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매수한 직후에 상한가로 치솟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주가가 상승할 확률은 어떻게 될까요? 이 질문은 두가지 부면에서 생각해 보아야합니다. 수학적으로 접근하는 방식과 통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그것입니다.

 

수학적으로는 주가가 상승할 확률은 정확히 50%입니다. 마찬가지로 하락할 확률도 50%입니다. 마치 동전을 던지는 것과 비슷합니다. 앞면이 나올 확률이 50%이고, 뒷면이 나올 확률이 50%인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아주 간단한 수학입니다.

 

하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우리는 동전을 던져서 앞면과 뒷면을 맞추는 것이 아닙니다. 통계적으로는 어떤 조건에 부합되는 종목의 주가가 상승할 확률을 계산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확률은 과거 기록을 통한 통계로 계산합니다. 

 

예를들어 여기 최근 당기순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런 회사의 주식의 경우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이런 회사를 펀더멘탈이 좋다고합니다.

 

또 다른 예로 여기 최근 몇 달간 주가가 상승한 종목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런 종목의 경우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비교적 높습니다. 이런 경향을 사람들은 모멘텀이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현실에서는 여러 요인들로 인해서 주가가 상승하거나 하락한다는 통계적인 자료가 있습니다. 그래서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선별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그리고 통계적으로 수익률과 리스크를 확률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손실은 피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렇게 선정한 종목의 주가 역시 무조건 상승하지는 않습니다. 상승할 가능성이 높았을 뿐이지 100%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여러가지 요건을 고려해서 종목을 선별해도 미래는 알 수가 없습니다. 때문에 무조건 오르지 않습니다. 이 말을 반대로 말하면 손실률을 0%로 끌어 내릴 수는 없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투자에서 손실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기억하세요. 투자에서 손실은 필연적인 것입니다.

 

리스크 관리는 필수!

손실을 피할 수 없다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리스크 관리입니다.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분산 투자, 분할 매수, 리밸런싱, 손절매 등등 방법적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방법적인 내용은 이후에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리스크 관리가 필수이며 매우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주가는 확률적으로 상승할 수도 있고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통계적인 데이터를 분석해야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런 데이터를 쌓기위해서 일지를 써야한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은 영감이 있어 경험적으로 이런 확률을 계산해냅니다. 그리고 또 다른 어떤 사람들은 백테스팅이라는 과정을 통해 통계적 가능성을 찾아냅니다. 중요한 것은 리스크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선정하여 매수하는 종목이 무조건 오를 수는 없습니다. 투자는 분석을 통해 수익을 올릴 확률을 높이는 과정입니다.

 

 

투자와 투기의 차이?

지난 몇 년간 자산 가격은 문자 그대로 폭등했습니다. 그리고 그 시장에서 엄청난 수익을 얻었다는 성공 스토리가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그래서 그럴까요? 많은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가지

poolstockstory.tistory.com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스크 관리, 분산투자는 무엇인가?  (0) 2022.05.01
리스크 관리, 현금 보유 필요한가?  (0) 2022.04.30
손익 비대칭이란 무엇인가?  (0) 2022.04.23
변동성이란?  (0) 2022.04.17
시장에대한 관점?  (0) 2022.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