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방광염이라고 합니다. 이번에는 방광염 증상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성에게 자주 생기는 질병인 것 같습니다.
방광염의 정의
방광염이란 방광에 감염이 생기고, 방광 내 세균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염증이 발생합니다. 급성 방광염은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입니다. 만성 방광염은 통상적으로 1년에 3회 이상 방광염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방광염의 원인
방광염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되는 질병입니다. 그러므로 방광염의 원인을 알아봐야 겠습니다.
방광염의 원인 - 감염
방광염의 원인 중 약 절반 정도는 세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 내로 퍼져 발생하는 것입니다. 여성의 경우 항문과 요도가 가까워 항문 주위의 세균이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올라가서 염증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방광염의 원인 - 기계적 손상
과격한 성행위는 요도에 미약한 기계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꽉 끼는 바지를 입는 것도 요도에 상처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물리적인 손상입니다.
방광염의 원인 - 화학적 자극
방광염의 증상은 향 비누, 목욕용 거품이나 오일, 질 세척제, 관주법이나 피임용 크림 사용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커피, 술, 과일 주스, 양념이 강한 음식 같은 것도 방광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방광염의 원인 - 호르몬 결핍
폐경 후 여성 호르몬이 결핍되어 요도와 방광 내층은 얇아지는데 이러한 경우 감염과 손상을 입기가 더 쉬워집니다. 여성분들의 경우 호르몬 관련 질병이 많은 것 같습니다.
방광염의 원인 - 그 밖의 요인
소변보기 전에 너무 오래 참는 것이나, 세균이 좋아하는 따뜻하고 축축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꽉 끼는 바지나 속옷을 입는 것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방광염 증상
방광염의 증상으로는 자주 소변을 보게 되는 빈뇨, 배뇨시의 통증, 밤에 잠을 자다가 소변이 마려워 여러 번 깨게 되는 야뇨, 피가 섞이거나 색이 진하고 혼탁한 소변, 냄새가 심한 소변, 갑작스런 요의로 인해 소변을 참기가 어려운 절박뇨, 허리나 아랫배의 둔하거나 쑤시는 통증, 배뇨 후에도 소변을 덜 본 것 같은 잔뇨감 등이 있습니다. 만성 방광염은 증상이 없는 무증상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급성 방광염의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합니다.
방광염 증상 - 혈뇨
방광염 증상 첫번째는 혈뇨입니다. 소변을 볼때 화끈거림이 있으면서 피가 섞여 나오기도 합니다.
방광염 증상 - 빈뇨
방광염 증상 두번째는 빈뇨입니다. 빈뇨는 하루에 약 8회 정도 혹은 그 이상으로 소변을 보는 증상으로 소변을 봤어도 또 보고 싶은 느낌이 들게 됩니다.
방광염 증상 - 잔뇨
방광염 증상 세번째는 잔뇨입니다. 소변을 보고 나서도 뭔가 찝찝하고 다시 소변을 봐야될 것 같은 느낌이 들게 됩니다.
방광염 증상 - 혼탁뇨
방광염 증상 네번째는 혼탁뇨입니다. 혼탁뇨는 소변에서 악취가 나고 피가 섞여 나오거나 소변의 색이 혼탁해지는 증상입니다.
방광염 증상 - 절박뇨
방광염 증상 다섯번째는 절박뇨입니다. 절박뇨는 소변이 갑자기 참기 힘들 정도로 보고 싶거나, 화장실에 가지만 막상 소변은 나오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방광염 증상 - 배뇨통
방광염 증상 여섯번째는 배뇨통입니다. 소변을 볼 때 요도를 바늘로 찌르는 것과 같은 고통이 느껴지거나 아랫배 쪽에서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방광염 증상 - 야뇨
방광염 증상 일곱번째는 야뇨입니다. 소변을 보고 잠에 들었어도 한밤 중에 소변이 마려워 2~3번 이상 화장실을 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방광염의 진단 및 검사
방광염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요검사에 의해 이루어 집니다. 요검사에서는 농뇨, 세균뇨, 혈뇨 등이 나타나며 세균감염의 확진을 위해서는 요배양검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급성 방광염의 특징적인 증상을 호소하며 소변검사에서 농뇨를 보이면 배양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임상적으로 진단해 치료를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감염에서는 방사선 검사는 시행되지 않으며 적절한 치료 후에도 혈뇨가 지속되면 방광 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방광염의 치료
급성 방광염은 적절한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원인이 대장균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항생제가 1차적으로 사용됩니다. 항생제의 투여 기간은 3일 요법이 표준이지만, 최근에는 1일 요법도 3일 요법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며, 1회 복용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항생제를 잘못 선택했을 경우에는 균들의 내성을 키워주어 오히려 치료를 어렵게 만들고 다른 균들이 이중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만성 방광염의 경우는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만성 방광염의 유발 요인을 찾아 이를 제거 혹은 교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방광염의 경과 및 합병증
대부분의 경우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쉽게 치유되며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는 않으나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및 만성 방광염의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상행성 감염에 의한 신장감염입니다. 특히 임산부에서 상행성 감염이 자주 발생합니다. 또한 드물게 치료 후에도 소변에서 혈액이 검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이번에는 방광염 증상을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의 증상을 잘 살펴보시고 진료를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진단키트 양성 이후에 어떻게? (0) | 2022.03.28 |
---|---|
MSM의 효능 및 부작용 (0) | 2022.03.25 |
메타버스 관련주 ETF (0) | 2022.03.24 |
콘트로이친 효능 (0) | 2022.03.24 |
퇴직금 계산방법 알아보겠습니다.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