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산가치가 크게 상승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투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여러 가지 투자 대상 중에서 주식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주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그럼 저는 왜 주식에 투자할 생각을 했을까요?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주식 공부를 계획하고 있을까요? 이번에는 간단히 저의 방향성을 공유하고 블로그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투자를 생각하다.
2020년 팬데믹이 시작되고 많은 국가들은 화폐량을 늘리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대한민국도 각종 보조금과 낮은 이자를 통한 저렴한 대출을 늘려서 화폐량을 늘렸습니다. 미국도 비슷한 정책을 통해서 사실상 무제한의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유동성을 바탕으로 각종 자산군의 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한국 코스피는 2000포인트에서 3000포인트로 오르고, 부동산 가격도 거의 두배가 되었으며, 암호 화폐는 말도 안 되는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이 외에도 각종 투자 상품들이 범람하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에서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시장 경제의 당연한 흐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에서 기존에 투자를 하지 않았던 대부분의 사람은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여러 가지 투자를 시작하게 됩니다. 조금 빠르게 뛰어든 사람들은 좋은 수익률을 기록하게 되었고, 뒤늦게 뛰어든 사람들은 오히려 손실을 기록하고 있기도 합니다. 어쨌든 사람들은 투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투자를 공부하다.
저도 이런저런 여러 투자 대상에 기웃거려 봤습니다. 조그마한 아파트도 알아보았고, 우량주라는 것도 매수해보았고, 비트코인도 매수해봤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파생상품이라는 것도 알아보았습니다. 물론 조금 고생은 했지만, 결과적으로는 다행히 좋은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지나고 보니 제가 제대로 공부를 해서 수익을 얻은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대로 공부라는 것을 해보기로 했습니다.
주식을 공부하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일반적인 사람들이 가장 쉽게 접근 가능한 투자 대상은 주식입니다. 왜 이런 생각을 했을까요? 간단하게 비교해보겠습니다. 우선 많은 분들이 부동산 투자를 고민하십니다. 그러나 부동산은 비교적 큰 액수의 돈이 필요합니다. 정부 정책이나 대출 여력에 따라서 수익면에서 영향을 크게 받게 되는 것도 상당한 리스크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의 경우 암호 화폐 투자도 하십니다. 그런데 암호 화폐는 변동성이 너무 커서 실시간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자신의 본업이 있고, 가족과의 생활도 있습니다. 그래서 암호 화폐도 투자가 쉽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저는 주식에 눈을 돌렸습니다. 주식은 초기 자본이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도 어느 정도의 변동성이 있어 투자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종목도 다양해서 안정적인 운용도 가능하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그에 더해서 다양한 파생 상품들이 있어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다양성이 있기 때문에 운용 방법도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생각일 뿐입니다.
이제 대한민국의 평균 수명은 80세가 넘습니다. 그런데 50대만 되어도 직장에서 안정적인 수입을 얻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투자가 필요한 시대가 된 것입니다. 그래서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서 주식을 공부하려고 합니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성이란? (0) | 2022.04.17 |
---|---|
시장에대한 관점? (0) | 2022.04.16 |
투자자와 트레이더의 차이? (0) | 2022.04.10 |
투자와 투기의 차이? (0) | 2022.04.03 |
주식이란? (0) | 2022.03.27 |